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교통비를 절감해 주는 카드로,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직장인이나, 학생들의 교통비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지원정책입니다.
교통카드 발급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어,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분들이라면 꼭 챙겨야 하는 혜택인데요.
알뜰교통카드의 혜택과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알뜰교통카드란?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비 절감과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며 보행이나 자전거 등을 통해 이동한 거리에 따라 마일리지를 지급해 주는 사업입니다.
2023년 7월 1일부터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로 시행되어, 카드사와 지급 최대 횟수가 늘어, 확대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혜택
알뜰교통카드는 출발지에서 대중교통 탑승까지, 하차 후 도착지까지 이동하는 거리에 비례해 마일리지를 적립해 주는데요.최대 대중교통 이용금액의 90%까지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매 월 최대 60회까지 적립이 가능하며, 60회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높은 금액 순으로 마일리지가 지급됩니다.
이동거리는 최대 800m까지 적용되며, 앱에서 ‘출발/도착’ 버튼을 눌러 확인하고, 휴대폰을 통해 걸음 수를 측정하게 됩니다.
자주 이용하는 정류장을 즐겨찾기에 등록해 둔다면 거리를 자동으로 계산해 매번 버튼을 누르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동거리와 이용금액에 비례하여 마일리지를 '청년층'은 최대 39,000원을, '저소득층'은 최대 66,000원 적립할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지급 방법
알뜰교통카드는 실제 교통비를 줄여주는 마일리지는 지급해 주는 것인데요. 어떤 형태로 지급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마일리지는 한 달을 기준으로 정산되며, 대부분 결제대금에서 차감되는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만약 결제대금이 차감되는 카드의 경우 대금이 없거나, 결제대금 차감 후 마일리지가 남게 되면 계좌로 입금됩니다.
알뜰교통카드 이용 방법
알뜰교통카드는 말 그대로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카드를 직접 발급받아야 합니다.
기존에는 '신한카드, 우리 카드, 하나카드, 티머니, 로카모빌리티, DGB' 6개의 발급사에서만 가능했지만,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로 변경되며 '국민, 농협, 비씨, 삼성, 현대'가 추가되어 총 11개의 카드사에서 발급이 가능해졌습니다.
카드는 신용카드와 체크카드가 있으며, 발급 혜택이나 연회비 등이 차이가 있으니, 직접 확인하고 발급받는 것이 좋습니다. 카드 확인은 카드사 홈페이지나,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카드 발급을 마쳤다면, 앱을 다운로드하고 회원가입을 해야 하는데요.
마일리지 적립을 위해서는 카드 승·하차 태그뿐만 아니라 앱을 통해 출발, 도착을 눌러줘야 하기 때문에 필수로 다운로드하여야 합니다.
카드 발급과 회원가입을 마쳤다면 이제 준비는 끝났고, 이용하면 되는데요.
이용하실 때는 앱에 접속해서, 출발 전 ‘출발’ 버튼을, 도착 후 ‘도착’ 버튼을 눌러줘야 마일리지 적립을 할 수 있으며, 승·하차 시에 반드시 카드 태그를 해줘야 합니다.
* 앱에서 즐겨찾기를 등록해 준다면,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마일리지 적립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카드를 실물이 아닌 모바일을 통해 이용하는 ‘모바일 페이’ 기능도 있는데요. 이는 현재 아이폰에서는 불가능하고, 교통카드 기능을 지원하는 기종에서만 가능하며, 카드별로 등록 가능한 종류가 다르니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지급 조건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지급은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지역
알뜰교통카드는 정부와 지자체의 예산을 통해 마일리지가 지급되어, 알뜰교통카드 사업에 참여 중인 지자체 주민들만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중교통 이용 횟수
알뜰교통카드의 마일리지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월 15회 이상의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하는데요. 가입 첫 달에는 15회 미만으로 이용해도 지급이 되지만, 이후 15회 미만 이용 시에는 적립된 마일리지가 소멸됩니다.
최대 60회
알뜰교통카드의 마일리지는 월 최대 60회까지만 지급되는데요. 60회를 초과하여 사용할 시에는 교통비가 높은 순으로 60회까지만 마일리지 지급이 됩니다.
위 세 가지 조건을 충족한다면 발급받은 카드사별 지급 형태에 따라 마일리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기타
- 이동거리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최소 마일리지인 50원이 지급됩니다.,
- 미세먼지 저감조치 발령일, 환경·교통 관련 기념일에는 마일리지가 2배 지급됩니다.
- 마일리지는 3~8 영업일이 지난 후 지급됩니다.
- 카드는 월 1회(매달 1일 ~ 말일)만 변경 가능하고, 가입한 첫 달은 카드를 변경할 수 없습니다.
오늘은 대중교통을 지원해 주는 정책인 ‘알뜰교통카드’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학생이나 직장인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는 혜택일 것 같은데요.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로 변하며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한다면 놓치지 말고 받아야 할 것 같습니다.
예산이 소진되면 조기 종료될 수도 있다고 하니, 미리 신청해서 많은 혜택 받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정부 지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봉 1억 실수령액은 얼마일까? (0) | 2023.09.26 |
---|---|
청년내일채움공제 자격 및 신청방법 (0) | 2023.08.01 |
청년도약계좌 혜택 및 신청방법 (0) | 2023.07.29 |
문화누리카드 사용처와 신청자격, 재충전 방법 알아보기 (0) | 2023.07.28 |
경기도 대학생 학자금 대출이자 지원사업 (0) | 2023.07.26 |